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차이를 알아보세요

요즘 아파트는 청약으로 매매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청약이 아닌 일반분양을 할 때 가장 먼저 선택하는 것이 면적이다. 모집공고를 보거나 부동산에 제곱미터에 대해 물어보면 제곱미터를 기준으로 한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런 경우에는 전용면적과의 차이를 모르기 때문에 정확한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지역과 공급 지역. 집의 크기는 예산과 가구원 수에 따라 고려되어야 하므로 확실히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이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차이점 중 우선적으로 전용면적이 무엇인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한 가구가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의 면적을 말하며, 거실, 욕실, 주방, 안방, 작은방 등이 포함됩니다. 실제로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지역만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발코니는 이 지역에서 제외된다. 그래서 발코니를 서비스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최근 건설사들은 이러한 발코니를 널리 보급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추가적으로 발코니 면적을 확장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의 합을 실제 면적이라고 합니다.

다음으로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차이를 알아보기 전에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공용면적이다. 말 그대로 전 세대가 함께 사용하는 건물의 일부를 뜻한다. 엘리베이터나 계단복도 등의 지상층 주거공용공간과 주차장, 주민센터, 어린이집, 경로당 등의 공용공간으로 구분됩니다. 공급면적은 전용면적에 공용주거지역을 더한 면적을 의미합니다. 법적으로는 집의 크기를 말할 때의 기준이지만, 실제로는 아파트의 크기를 말할 때 흔히 말하는 평방피트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수를 말하는 데 익숙하기 때문에 둘을 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오피스텔의 경우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차이를 알면서도 혼동이 있다는 점이다. 아파트는 주택법에 근거한 반면, 오피스텔은 건축법을 따르기 때문에 같은 면적이라도 실제 사용 가능한 공간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특히 아파트형 오피스텔의 경우 건축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이들 구역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넓은 면적에 속지 마시고, 얼마만큼의 공간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신 후 계약하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부동산은 내 자산의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크기에 따라 가격이 크게 다릅니다. 가끔 다른 집을 방문했을 때, 내 집과 같은 면적인데도 집의 크기가 다르다고 느껴지면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차이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한번 알아두면 어렵지 않지만, 집을 팔거나 살 때 헷갈리기 쉬우므로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