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 정형외과] 휜 다리 O자형 교정 수술! 근위 경골 절골술(HTO)

 

퇴행성 관절염과 휜 다리 (O 다리)

무릎은 활동량 많은 관절로 퇴행성 변화의 위험이높습니다. 관절염을 방치하게 되거나 양반다리나 쪼그려앉아서 걸레질 등의 자세는 연골을 손상시켜관절염을 가속화하며 통증을 유발하게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좌식 생활에 습관 돼있기 때문에 내측 연골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자세를 지속하다면 무릎 안쪽으로 체중이 쏠리면서 내측 무릎이 부담을 받게 되고 연골이 닳는 동안 통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받지 않아 방치할 경우, 한쪽만 연골이 닳아 무릎뼈의 균형이 어긋나면서 다리 변형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기에는 약물치료나 주사 치료, 물리치료 등 보전적 치료를 시행하게 되며 중기에는 근위경골 절골술, 연골재생술 등을 시행하게 됩니다. 중기는 변형이 시작된 단계로 무릎끼리 마찰을 막아주지 않으면 심한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며 관절염 상태가 심각하거나 지속적인 치료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호전되지 않으면 인공관절 수술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HTO : 근위 경골 절골술 high tibial osteotomy

의학용어 HTO :  근위 경골 절골술이라고 부르는 이 수술은 무릎 아래 피부를 5cm 정도 절개하여 해당 부위를 금속판으로 고정한 뒤 벌어진 틈에 뼈를 이식해 채워 넣는 방법입니다. 때문에 다리가 1자로 교정될 뿐만 아니라 관절염 가속화를 방지해주고 관절염 진행속도를 늦춰줄 뿐만 아니라 종아리뼈에 해당하는 경골을 절골해 고정을 하였기 때문에 안쪽으로 치우쳐진 균형을 올바르게 교정해 주며, 몸의 무게를 고르게 분산시켜 통증을 감소해 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양측 무릎 수술 전후   (실제 수술한 환자 X-RAY) HTO 적용 대상은? 의학적인 영상 (x-ray, MRI) 만 가지고 판단할 게 아니라 환자의 환경, 나이도 중요합니다. 수술을 진행하더라도 직업적인 부분이나 수술을 하더라도 어떤 체격조건이나 이런 것도 큰 역할을 하게 되고 너무 과체중인 경우 수술을 피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미관상 보기 싫어하고 싶다는 경우도 있는데 이 수술은 미용적인 수술이 아니라 퇴행성 관절염이 진행되는 걸 늦추고 통증 완화를 위한 목적이 더 크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  좌측 (방화 병원 수술한 환자 X-RAY) 우측 (방화 병원 수술한 환자 X-RAY)  다리의 배열을 올바르게 재교정해 주어 무릎이 골고루 신체의 하중을 부담할 수 있도록 하며, 자가 관절을 더욱 오래 쓸 수 있습니다. 근본적인 모양을 교정하고 인공관절 수술을 할 정도까진 아니지만 그 중간에서 진행을 차단하고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시행합니다.  수술 후 관리? 재활 기간? 대부분 HTO 하시는 분들은 50대 중반에서 60대 중반 정도의 연령대가 가장 많습니다.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수술인 만큼 예후도 좋지만 재활 기간이 좀 깁니다. 6~8주 정도는 목발을 짚거나 보조기 사용해야 됩니다.  또한 수술 시 고정하기위한 핀(금속판)과 나사못을 사용했기 때문에 수술 부위 소독과 CPM 기계를 이용한 무릎관절의 수동적인 운동 및 근육강화가 필요하며, 약 12개월 후 고정물 제거술이 필요합니다. 굉장히 좋은 수술이고 만족도도 너무 높지만 재활기간이나 제거술도 같이 해야 된다는 점 유의 해주세요.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는 근위 경골 절골술 대해서알아봤습니다. 수술은 주치의에 충분한 상담과 진료를 통해 진행되고 있습니다. 상담 원하시면 문의전화 02.2666.7582 나 내원하시길 바랍니다.어제보다 오늘 더 건강하세요 🙂  50m NAVER Corp.더보기 /OpenStreetMap지도 데이터x NAVER Corp. /OpenStreetMap지도 컨트롤러 범례부동산거리읍,면,동시,군,구시,도국가방화병원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