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은 부모 모두의 업무 부담과 가계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난해 10월 고용노동부는 기존 육아휴직 제도를 개편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개정된 조건과 기간, 급여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2023년 현행 육아휴직 제도
2023년부터 시행되는 육아휴직 제도는 최대 12개월까지 보장된다. 만 8세 미만,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부모는 통상임금의 80%까지 육아휴직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 달에 최소 70개. 결제금액은 1만원부터 최대 150만원까지이다. 이때, 12개월 미만 자녀를 둔 부모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첫 3개월은 정규임금의 100%를 지급하는 3+3 특별 육아휴직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2024년 육아휴직 제도 개편 예정
다가오는 2024년에는 3+3 육아휴직 제도의 혜택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이것이 이번 개혁안의 핵심 내용이다. 목표, 기간, 급여가 모두 인상됩니다. 2024년 6+6 육아휴직 시행 대상 : 출생 후 12개월 이내 → 출생 후 18개월 이내 : 최초 3개월 → 최초 6개월 상한 : 200만~300만원 → 200만~450만원 기간은 기존 3+3 육아휴직 제도를 확대하고, 상한액도 최대 450만원으로 상향한다. . 6+6 육아휴직 제도 최대 혜택 금액, 조건
최대 6+6 육아휴직 제도를 받으면 월 900만원의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6+6 육아휴직 제도 최고연봉* 통상임금의 100% 지급 1개월 : 200만원 2개월 : 250만원 3개월 : 300만원 4개월 : 350만원 5개월 : 400만원 6개월 : 450만원 기존에는 처음 3개월간 급여를 지급했기 때문에 3+3 육아휴직 제도라 불렀다. 2024년부터는 혜택이 6개월로 늘어난다. 이에 따라 6+6 육아휴직 제도라고 합니다. 6+6 육아휴직 제도 적용 조건 6+6 육아휴직을 신청하려면 부모 모두가 최소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해야 합니다.
정부는 6+6 육아휴직 제도 외에 육아휴직 기간을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그러나 육아휴직 기간을 18개월로 확대하는 법안은 아직 발의되지 않았다. 이번 개정안은 육아에 조금이나마 혜택이 갈 수 있도록 조속히 시행하겠습니다. 편안한 환경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실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친척 계좌로 이익을 훔친 유튜버, 가상자산에 돈 숨긴 사람까지… 국세청 자산추적조사(BY 유안타증권) 세금 납부는 국민의 의무다. 헌법에 명시되어 있으니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예외 없이… post.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