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재건축 차이 개념 알아보기
신도시에 신규 공동주택을 공급하기도 하지만, 최근 들어 오래전 개발이 완료 되었던 구도심을 현대화하는 작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데요. 이는 전국 각 지역에 무려 이천여 곳이나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흔히 듣기 쉬운 재개발 재건축 차이를 알아보려 합니다. 한동네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사업주가 돼 아파트를 새로 짓는다는 개념으로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두 가지는 각각 다른 의미가 있는데요. 우선 첫 번째 사업부터 살펴볼까요? 이는 주변 시설이 열악하며, 낙후되었다고 판단될 때, 시행을 합니다. 사람이 거주하기 좋도록 정주 여건까지 개선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는데요. 여기에 속한 정비기반 시설은 주변 도로나 상하수도 등을 뜻합니다. 때문에 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서울 토지주택공사에서 추진을 하는 공공사업의 성격을 가집니다.
재개발 재건축 차이 중 대표적인 것은 조합원 모집 방식인데요. 동네 주민이 새 거주지를 개선하기를 희망한다면 계획서를 작성합니다. 해당하는 시, 도 지자체 담당 부서에서 계획안을 검토하며, 구역 지정 고시를 내주는데요. 주민이자 소유주 5인 이상이 조합 정관 작성을 하며, 사업을 순조로이 추진해 보려 동의하는 사람들을 모으게 됩니다. 이때는 75%가 동의를 한다면 나머지 25%는 자동 형태로 조합원이 되는 형식이니 참고 바랍니다.
이어서 두 번째 개념에 대해서도 알아볼까요? 주변 학군과 교통 인프라는 우수한 반면, 건축물이 노후화하였을 때 시행되는데요. 낡은 연립 주택을 포함해 다세대 빌라 및 아파트 등을 허문 뒤 다시 짓는 것 입니다. 도시 한복판 즉, 아파트가 밀집 돼 있는 지역에서 추진이 되는 모습을 목격할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할 경우, 필수 조건이 있습니다. 대지는 10,000㎡ 이상이고, 또 300세대를 넘어야 하며, 단독 주택은 200호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요. 상기 재개발 재건축 차이에서 언급 드린 것과 같이 안전 진단을 수행해야 됩니다. 사이트 내 3분의 2가 다시금 지어야 된다는 판정을 받아야 됩니다.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자동 조합원 등록이 되는 시스템이 아닌데, 조합원이 만들어 진다면 이웃을 설득해야 되겠습니다. 50% 이상 동의를 받아 지자체를 통해 설립 인가받아야 되는데요. 시공자, 소유주끼리 1:1 임대차 계약을 실시하는 것이 다릅니다.
공통적으로 착공하기 전, 인허가 기간이 복잡해 일반적으로 7년 ~ 10년 가량 기간이 소요 되는데요. 재개발 재건축 차이로 보자면, 정비 기반 시설 노후화 및 조합원 모집 방식이 해당 되겠습니다. 때문에 전자 방식은 정주 여건을 정비를 목적으로 공사비에 들어가는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기부채납 비율도 올라가겠습니다. 후자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 들어간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