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 가입내역 확인서 발급기간 (ft. 모바일PC)
일반적인 정규직 근로자라면 기본적으로 4대 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며 급여에서 원천징수됩니다. 일할 때는 크게 신경쓰지 않지만, 일을 그만둔 후에는 가끔 구독 내역을 확인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실업급여를 받을 자격이 있어 신청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간단한 획득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PART01고용보험 자격 이력조회증명서
고용보험 가입을 의무화하는 사업장에 근무할 때 고용보험 의무가입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문서입니다. 오늘은 ‘개인’, 즉 일반 직장인이 어떻게 문서를 검색하고 발급할 수 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종합고용 및 산재보험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쉽게 검색 및 발급이 가능합니다.
(1) 네이버 검색창에 ‘고용보험 산재총액’을 검색하세요. (2)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3) 하단의 고용 및 산재보험 자격 내역을 선택합니다. (4)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합니다. (5) 상단에서 로그인을 해주세요. 개인선택 후 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 선택 (6) 옵션 선택(몇 가지 주의사항 주의) 보험분류 – 취업선택(고용보험 이력조회) 검색분류 1) 상용 : 1년 이상 근무한 경우 주 40시간2) 일 : 기타 (7)의 경우 이렇게 검색하시면 근무했던 직장을 기준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그 중에서 선택해야 할 사업장만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후, 아래 내역서 발행 중 옵션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개발사업장 : 사업장별로 별도로 구분 자격이력명세서 : 등록된 전체 이력 선택한 사업장의 자격이력명세서 : 이력 (8) 이렇게 하면 쉽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PDF로 받아보고 싶으시면 아래 순서대로 진행해주세요. (1) 인쇄 버튼 선택 (2) 대상 – PDF로 저장 PART02 정부 24 발급(모바일) 정부 24를 통해서도 고용보험 가입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과 PC 모두에서 이용 가능하므로, 필요하신 경우 이용하시면 됩니다. 당신은 그것이 필요합니다. (1) 정부 24 접속 (2) 검색창에 ‘고용보험 가입이력조회’를 검색하세요* ‘고용보험 가입이력조회’를 검색하시면 위 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가 나옵니다. 정확하게 검색해 보세요. (3) 발급선택 (4) 인쇄할 사업연도 날짜 선택* 위 방법과 다른 점은 해당 연도, 월, 일을 수동으로 선택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정확한 근무시간을 입력해주세요. (5) 발급 및 조회 * 내용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편리한 방법을 사용하세요. PART03Finish 위 두 가지 방법 모두 쉽게 조회 및 발급이 가능하므로 본인에게 편리한 방법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제 경험상 고용보험 종합서비스 사이트는 좀 더 세부적인 선택이 가능해서 더 직관적이어서 마음에 들었어요. 개인마다 느끼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편한 것을 사용하시고 고용보험 가입 내역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참고 : 실업급여 관련 포스팅 요약 자진퇴직 실업급여 대상 (ft. 계약직 자진퇴직이 가능한가요?) 희망퇴직 실업급여 대상 (ft. 계약직 자진퇴직 가능한가요?) ?) 내용 1. 기본조건 2. 자진퇴사 자진… m.blog.naver.com 실업급여 전직확인서 발급요청서 제출요청방법 (작성방법 ft.) 직장을 그만두거나 이직을 준비하고 있는 사람은 실업수당에 관심이 많을 것입니다. 실업급여 받기… m.blog.naver.com 퇴직연령 퇴직에 대한 실업급여 조건 신청 방법(ft. 65세 이상) 퇴직연령 퇴직에 대한 실업급여 신청 방법(ft. 65세 이상) 이전) 오늘도 퇴직 후에도 실업급여(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m.blog.naver.com